March 02, 2025
1. 서버리스란 무엇인가? 서버리스(Serverless)는 개발자와 인프라 엔지니어가 서버 관리의 부담에서 벗어나 애플리케이션 로직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고 해요. 2014년 AWS Lambda의 출시와 함께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이는 클라우드의 Auto Scaling과 Event-driven 컴퓨팅 기술 발전의 결과물이기도 하죠. AWS S…
February 05, 2025
NestJS 관련된 글을 몇 개 작성했었는데, 최근들어 NestJS에 대해 더 깊이 파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왕 이렇게 된 거 끝까지 극한으로 파헤쳐보려고 한다. 카테고리 자체는 공식 문서 정리, 성능 개선, 오픈소스 기여 등 다양하게 가져가볼 계획이고, 시리즈는 전부 NestJS에 넣을 생각이다. NestJS Deep Dive Repos…
January 19, 2025
AWS Lambda의 Execution Environment 이해하기 AWS Lambda 는 서버리스 컴퓨팅의 핵심 서비스로, 서버 관리 없이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러한 편리함 뒤에는 'Execution Environment(실행 환경)' 라는 개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AWS Lambda의 Execution En…
December 10, 2024
안녕하세요, 저는 가천대학교 동아리 모집 관리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한 이창민입니다. 졸업 프로젝트를 위해 저를 포함한 개발자 4명에서 진행하게 된 프로젝트인데요, 서비스 명은 GACHDONG(가츠동) 으로 프로젝트 심사와 보고서 작성으로 인해 심사를 위한 서비스 구현까지만 진행되었고, 종강 이후 더 다양한 기능을 개발할 계획에 있습니다. 서비스 링크 서…
December 07, 2024
최근 프로젝트에서 백오피스를 만들게 되었는데, React로 Front 구현, NodeJS(Express)로 서버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다. 백오피스 환경은 전부 무료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싶어, React는 Netlify로 배포를 진행했고 NodeJS는 Koyeb로 배포를 진행했다. React는 성공적으로 배포가 되었지만, NodeJS는 배포 과정에서 에러를…
December 02, 2024
JWT란 무엇인가? JSON Web Token (JWT) 는 JSON 기반의 토큰으로, 정보를 안전하고 간결하게 주고받기 위한 기술입니다. JWT는 주로 인증(Authentication) 과 권한 부여(Authorization) 에 사용되며, HTTP 헤더, URI 쿼리 파라미터 등 공간이 제한된 환경에서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증/인가를 위한 방…
December 02, 2024
언젠가 꼭 해보고 싶었던 컨텐츠를 이제부터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요즘 IT 서비스 기업이라면 대부분 테크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더 나아가 다양한 주제로 양질의 컨텐츠를 영상으로도 공개하고 있는데요. 저는 도입 검토를 진행 중이거나 적용해보고 싶은 혹은 새로운 기술들을 학습할 때, 이런 컨텐츠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정말 다양한 기업에서 특정 …
November 27, 2024
오늘은 일일 100만 건의 배송 데이터를 처리하고, 실시간 배송 상태를 고객에게 제공해야 하는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설계해보았습니다. 특히 평균 TPS 70, 최대 TPS 300을 처리해야 하는 성능 요구사항이 존재합니다. 서비스 설계의 핵심 고려사항 확장성(Scalability): 수평 확장을 통해 부하에 …
November 27, 2024
Prerequisite : 본 글에서 언급되지만, 직접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 것들입니다. kubernetes TLS istio 환경 저희 프로젝트는 이미 GKE 내에 istio 관련 설정이 기본적으로 셋팅되어 있습니다. Service Traffic GKE istio service mesh istio ingress gateway kiali 소개 서비스를 실…